(종합) EU·멕시코에 30% 관세 서한, 주요 무역상대국 중 대만·인도는 아직…뉴욕타임스 "관세, 단순 엄포 아닐 수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각각 30% 상호관세를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 발표됐던 기존 관세보다 각각 10%포인트, 5%포인트 인상된 수준이다. 이날 추가 발표로 지난 7일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상호관세율 서한을 받은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총 25곳(24개국+EU)으로 늘었다. 트럼프는 다시 강공 모드를 취하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을 담아 보내는 서한 두 건을 게시했다. 서한을 보내는 날짜는 전날인 11일로 적혔다.EU의 상호관세율은 지난 4월 발표됐던 기존 관세 20%에서 10%포인트 올랐다. 미국과 EU 협상팀이 지난주부터 시작한 무역협상에서 핵심 쟁점인 자동차, 농산물을 비롯해 관세율과 비관세 무역장벽 등을 놓고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압박용으로 관세율을 인상해 발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성명에서 "8월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준비가 됐다"면서도 "EU 수출품에 30%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필수적인 대서양 공급망을 교란해 양쪽 모두의 기업, 소비자,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필요하다면 EU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며 보복관세 가능성도 내비쳤다.미국 주요 교역국의 상호관세율 현황/그래픽=임종철멕시코에 대한 관세도 30%로 5%포인트 인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에 대한 단속 책임을 들어 캐나다와 함께 멕시코에 25%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한 뒤 곧바로 이를 유예하고 현재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이외 상품에 대해서만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후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당시엔 부과 대상에서 멕시코를 제외했다. 이날 공개한 서한에서 트럼프는 멕시코에서 제조된 합성마약 펜타(종합) EU·멕시코에 30% 관세 서한, 주요 무역상대국 중 대만·인도는 아직…뉴욕타임스 "관세, 단순 엄포 아닐 수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과 멕시코에 각각 30% 상호관세를 다음달 1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4월 발표됐던 기존 관세보다 각각 10%포인트, 5%포인트 인상된 수준이다. 이날 추가 발표로 지난 7일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상호관세율 서한을 받은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총 25곳(24개국+EU)으로 늘었다. 트럼프는 다시 강공 모드를 취하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에게 이 같은 내용을 담아 보내는 서한 두 건을 게시했다. 서한을 보내는 날짜는 전날인 11일로 적혔다.EU의 상호관세율은 지난 4월 발표됐던 기존 관세 20%에서 10%포인트 올랐다. 미국과 EU 협상팀이 지난주부터 시작한 무역협상에서 핵심 쟁점인 자동차, 농산물을 비롯해 관세율과 비관세 무역장벽 등을 놓고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하자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 압박용으로 관세율을 인상해 발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성명에서 "8월1일까지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계속 협력할 준비가 됐다"면서도 "EU 수출품에 30%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필수적인 대서양 공급망을 교란해 양쪽 모두의 기업, 소비자,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필요하다면 EU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조처를 할 것"이라며 보복관세 가능성도 내비쳤다.미국 주요 교역국의 상호관세율 현황/그래픽=임종철멕시코에 대한 관세도 30%로 5%포인트 인상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에 대한 단속 책임을 들어 캐나다와 함께 멕시코에 25%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한 뒤 곧바로 이를 유예하고 현재는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이외 상품에 대해서만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후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당시엔 부과 대상에서 멕시코를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