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건설협회 대형 건설사들이 중대재해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비용 예산을 매년 확대하고 있지만 연초부터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안전 관련 투자를 2년 만에 3배 가까이 증액했지만 사고 예방에 실패한 모습이다. 안전 문화의 현장 정착과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15일 업계에 따르면, 연초부터 건설업계에 대형 안전사고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 2월 서울세종고속도로 천안∼안성 구간 교량 붕괴를 시작으로 서울 동대문구 이문동 아파트, 제기동 재개발사업지 붕괴에 이어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도 붕괴사고가 발생했다.대형 안전사고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10대 건설사에서 발생해 더욱 충격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올 한 해 세 번의 중대재해 사고를 냈다. 충남 아산 오피스텔 공사현장과 서울세종고속도로 안성 현장, 경기 평택 신축 아파 공사 현장 등이다. 3건의 사고로 1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어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이 시공 중인 공사 현장에서도 사망사고가 잇따랐다. 최근에는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장 붕괴 사고로 1명이 실종된 바 있다.대형 건설사들은 잇따르는 중대재해 사고를 막기 위해 안전 관련 예산을 급격히 늘려왔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안전보건분야 투자를 2년 만에 3배 가까이 증액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449억원이던 안전보건 투자비는 2023년 1189억원까지 늘었다. 안전설비, 안전보호구, 안전 교육 훈련, 현장점검 및 예방 등을 모두 강화했다.현대건설도 안전경영비용 2021년1349억원에서 2023년 1706억원으로 확대했다. 이는 2023년 영업이익 7854억원의 21.7%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대우건설은 2022년도 기준 본사 22억6000만원, 현장 1226억9000만원이던 안전보건 예산을 2023년 본사 46억9000만원, 현장 1447억8000만원으로 확대한 바 있다. 대우건설은 2023년 영업이익(6625억원)의 22.5%를 안전보건 비용으로 투자했다. 중대재해 사고 발생은 프로젝트 지연 또는 중단으로 [앵커] 지문만 보고도 아이의 성향이나 적성, 진로까지 내다볼 수 있다면 어떨까요. 요즘 학부모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바이오 검사 얘긴데요. 어디까지 믿을 만한 건지, 현장카메라 곽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근 지문이나 홍채 같은 바이오 정보를 이용해 기질을 파악하는 새로운 적성 검사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검사하고, 정확도는 얼마나 되는지, 검사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 지문인식기에 손가락을 차례로 올리고 잉크를 묻혀 손금도 찍습니다. 지문과 손금 모양으로 적성을 파악하는 검사인데 초등학생 학부모들 사이에서 인기입니다. [현장음] "주하는 정말 감성형의 리더십 밖에 없기 때문에. 정서가 굉장히 예민하고요. 환경의 영향이 상당히 큰 기질이에요." 업체는 태아 발달 초기에 만들어진 지문을 통해 유전 정보를 파악하고, 공부법이나 진로까지 찾을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박선익 / 지문검사업체 대표] "우리가 손의 영역과 뇌의 영역이 상당히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유전과 대뇌 과학이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취업준비생들을 겨냥해 취업박람회장에도 관련 부스가 들어섰습니다. [현장음] "사회복지는 너무 전공을 잘하셨는데요. 안정적인 시스템을 선호하시거든요. 공무원이나 복지관이나." 제2의 지문이라고 불리는 홍채 검사까지 등장했습니다. 홍채 모양과 점의 위치로 타고난 기질을 분석한다고 설명합니다. [현장음] "이쪽 6시 방향이 우리가 아이한테 가장 많이 봐야 하는 '재능 사인'이라 얘기를 해요. 글쓰기 사인이 조금 보이긴 해요." 검사 결과지를 보니 내향적이며 창의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황선경 / 학부모] "아이의 기질도 날 때부터 정해져 있는 것들이 많을 텐데 근데 알고 봤더니 내가 너무 얘한테 바라는 게 많았다는 생각을 조금씩 하게 되고." 하지만 생체 적성검사를 맹신하는건 금물입니다. 공신력있는 평가 기관이나 검사 자격증도 없고, 지문이나 홍채 자체에 DNA 정보가 담긴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김영진 /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연구기술개발과 보건연구관] "통계적인 확률적인 값으로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값에 대해서 과도한 불안감을 가지시거나 맹신하는 것은 경계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또 적성이나 기질은 생활 환경과 습관의 영향도 크다고 조언했습니다. 현장카메라 곽민경입니다. PD: 윤순용 AD: 최승령 작가: